Ⅰ. 근 거
- □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평생교육 진흥 조례 제4조(평생학습관의 설치)
- □ 2020년 제주교육박물관 주요업무계획
Ⅱ. 추진 방향
- □ 역사적 사실을 배움으로써 다른 세대와 조화롭게 공존하게 함
- □ 유적지 답사를 통해 피부에 와 닿는 역사 체험 기회 제공
- □ 학생들의 역사적 정체성 형성을 돕는 체험 중심 프로그램 지원
- □ 평화의 소중함을 마음에 되새기는 기회가 되도록 프로그램 운영
- □ 역사와 현재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역사의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
- □ 평생교육 이용자 및 대상자 참여 제고 위한 강좌 및 답사 운영 등
Ⅲ. 세부 추진 계획(2020년 제주교육박물관 주요업무계획과 연계추진)
사 업 명(과제번호) | 시기 | 장소 | 대상 | 인원 | 추진계획 |
---|---|---|---|---|---|
3-1-1. 제주 신화 속 즐거운 인형극 | 5월~6월 (8회) | 뮤지엄 극장 | 유아 및 초등학생 | 600명 | - 제주 신화를 인형극으로 친근하게 접근 - 제주 고유의 신화를 배움으로써 제주인의 정체성 인식 |
3-1-2. 유적지 및 박물관 탐방 향토문화학교 | 9월~11월 (3회) | 제주도내 유적지 | 초등학생 | 40명 | - 유적지 탐방을 통해 향토역사 이해 -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박물관 견학 및 체험 등의 문화 체험 기회 지원 - 향토역사를 바로 알고 미래 창의적 애국·애향심을 고취함 - 생각하고 느끼며 질문하고 답을 찾는 체험 활동 교실 운영 |
3-2-1. 학생 동아리와 함께하는 체험활동 지원 | 7월 (1회) | 야외 전시장 | 중학교 (동아리반) | 200명 | - 전통 염색 체험 등 학생 동아리 지원 - 제주의 전통 염색 방법인‘감물들이기’체험 - 학생 자치활동을 지원하는 염색 체험 - 박물관 전시 관람 - 강사: 추후 선정 |
3-2-2. 세계로 나아가는 글로벌 시민 교육 운영 | 11월 (1회) | 뮤지엄 극장 | 고등학교 3학년 학생 | 100명 | - 사회로 새로운 출발을 위한 디딤돌 인성 함양 프로그램 제공 - 사회인으로써 갖춰야 할 인성교육 강좌 운영(전문 강사) - 제주 교육 역사 이해를 돕는 전시실 관람 - 박물관 강좌를 통해 교과 학습 지원 |
3-2-3. 가족과 함께하는 박물관 속 극장 | 각 10회 상영 2월 / 7월~8월 | 뮤지엄 극장 | 유아, 학생과 학부모 | 500명 | -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춘 양질의 영화 선정 - 호기심과 상상력을 길러주는 다양한 영화 상영 - 문학적 감수성과 정서 함양 등 문화 생활 향유 효과 기대 |
3-3-1. 제주문화유산 답사에서 배우는 평화와 공존 | 7월 (2회) | 도내 유적지 | 교직원 | 28명 | - 6·25전쟁 역사 유적 현장 답사 - 역사현장 답사를 통해 평화의소중함 깨닫기 - 강사: 추후 선정 |
3-3-2. 전통문화 역사 교실 | 9월~10월 (4회) | 평생 학습실 | 교직원, 지역주민,해설사 | 80명 | - 비극적 사건을 겪은 세대를 이해 하며 함께 화합하는 제주인으로 재탄생 - 한국사를 제주인의 시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주체적 시각을 갖도록 함. - 강사: 추후 선정 |
제주교육박물관 운영위원회 | 1월 (1회) | 뮤지엄 극장 | 운영위원 10인 | 10인 | - 제주교육박물관 주요업무계획 심의 |
평생 학습관 홍보 및 운영 | 1월~12월 | 전국 평생 기관 축제 해당 지역 | 평생 교육 담당자 및 지원 직원 | - 평생 교육 프로그램 조사 및 개발 - 도내·외 평생 학습 축제 등 참가 - 교육내용 및 교육자료(사진 등)홈페이지 탑재 |
* 프로그램운영 사정에 의하여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Ⅳ. 기대효과
- □ 학생, 교직원들이 직접 역사의 현장을 방문함으로써 역사의 실제성을 경험
- □ 역사적 시야를 넓히고 역사적 자존감을 높이는 기회 제공
- □ 다양한 세대들에게 역사를 알려줌으로써 세대간 이해 증진 기회 제공